본문 바로가기
육아/임신 출산 정보

모유수유 언제까지 해야할까? (모유수유 기간)

by 수일 주식회사 2016. 11. 30.
반응형

  녕하세요. 심콩대디입니다. 요즘 여러가지 일로 바빠서 포스팅을 오랫만에 올리게 됬습니다. 오늘은 모유수유와 관련된 포스팅을 진행하려고 하는데요. 3년 동안 추적 연구한 논문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모유수유가 우리 아기의 지능지수에(인지발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모유수유 기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 참고/ 모유수유의 어려움 http://simkong.tistory.com/13

 

 

  유수유는 여러가지 장점이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아기뿐만아니라 산모에게도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조금만 검색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먼저, 아기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모유속에는 중추신경계를 발달시킬 수 있는 각종 영양분이 함유되 있어 아기의 신체발달과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함니다.  뿐만아니라 산모에게도 좋은 점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있는데요. 산모의 산후비만을 막아주고 유방암 발병률을 낮추는 데에도 효과적인 면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모유수유의 좋은 점을 계속 말하자면 입만 아프지요^^

 

  하지만, 이렇게 좋다고 알려진 모유수유! 사실상 쉬운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우리나라의 모유수유율과 모유수유를 어렵게 만드는 원인을 살펴보았습니다. 우리 아이에게 모든지 해주고 싶은게 부모마음인데, 현실적으로 어려움에 부딪힘니다. 통계상으로 볼 때에 모유수유는 3개월까지 가장 많이 이루어지며 3개월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한다는 것을 살펴보았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모유수유가 인지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논문 결과를 바탕으로 과연 모유수유를 언제까지 하는 게 좋을지 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어디서 알아본 모유수유와 관련된 어떤 연구일까?

 

 

  저는 '2016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에 등재된 아기의 인지지능 발달에 모유수유가 주는 효과와 관련된 논문을 찾게 되었습니다. 3년간 약 700여명의 아기를 추적 연구를 통하여 모유수유가 지능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연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베일리 검사 소개

 

  연구에서는 지능지수를 알아보는 방법으로서 한국형 베일리 검사를 활용했습니다. (K-BSID-II) 영유아 베일리 검사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자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영유아 검사

  • 인지, 언어, 대근육/소근육운동, 사회성/정서, 적응행동의 다양한 영역에서 영유아의 발달 중 빠른 영역과 개발이 필요한 영역을 알 수 있도록 해주는 검사

  • 통계에 의한 수치로 알려주는 유일한 검사

  • 또래아동과의 비교를 통해 어느정도 수준인지 알 수 있도록 함

  • 발달지수는 두가지로 구분함 첫째는 인지발달지수(MDI) 둘째는 동작발달지수(PDI)

  베일리 검사는 통계적인 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많은 데이터를 축적하여 아기의 발달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와 인지발달과 어떻게 관련이 될까?

 

   그럼, 논문에 나와 있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할까요?? 아래의 표는 논문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사회적 특성을 정리하고 그룹별로 베일리 검사를 통한 인지발달지수(MDI)와 동작발달지수(PDI)의 결과를 정리한 표 입니다.

 

 

 

 

  영어로 블라블라 써있어서 읽기가 싫어지는데요. 제가 그럴줄 알고~! 한글로 바꾼 표를 만들어보았습니다.(전체 다 쓰기는 힘들어서 대략적으로 요약했어요)

 

 

 

 몇 가지만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분유집단과 모유집단의 개월의 평균은 각 각 30.0과 30.1 이지만 P값이 0.766으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하지 않다. 이 의미는 각 집단의 개월수가 평균으로 봤을때는 30개월 30.1개월로 약간 차이가 있지만 통계적으로 봤을 때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없다라는 의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교육수준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전문대졸이상이 50%가 넘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가족 수입은 두집단 모두 200만원 이상인 경우가 60%이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아기 성별은 두집단 모두 남아가 여아보다 상대적으로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인지발달지수는 모든 개월수에서 모유수유집단이 평균적으로 더 높은데 이것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차이가 있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동작발달지수는 p값이 모두 0.05보다 높기에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 않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동작발달지수에 대해 모유수유가 효과가 있다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결론적으로 살펴보면 모유수유한 아기들이 분유를 먹인 경우보다 인지발달지수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가 나왔다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가 인지발달에 효과적이다라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그렇다면 얼마만큼의 기간동안 먹였을 때 효과적일지 논문에 나타난 그래프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모유수유를 얼마나 해야할까?(모유수유 기간)

 

 

 

  먼저, 모유수유를 얼마나해야할지 알아보기전에 상자그림에 대해서 알아야 이해가 수월합니다. 위 그래프는 사분위수를 나타낸 상자그림 또는 상자수염 그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자그림은 아래의 사진과 같은 것을 나타냅니다. 사분위수는 전체의 자료의 데이터를 작은것부터 큰것으로 나열했을 때에 전체의 중간위치(2/4)에 위치한 데이터를 중위수, 1/4 위치의 데이터를 1사분위수 3/4 위치의 데이터를 3사분위수라고하고 전체 데이터의 50%가 1사분위수와 3사분위수 사이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평균이 데이터 값의 산술적인 중간데이터라고 한다면 중위수는 데이터값들을 순서대로 배열했을때에 산술적인 중간위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좀 이해하시는 것이 복잡할 수 있으니 간단하게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박스안에 전체의 50%의 자료가 들어있다. ->박스가 좁으면 좁을 수록 자료들이 중위수에 밀집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아래위로 길게 난 수염안에 나머지 상, 하위의 자료가 들어 있다. ->수염이 짧을 수록 자료들이 밀집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박스의 가운데 선은 중위수이다. 즉 전체의 데이터들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수입니다.

 

 

 

 

 

  의 그림은 1년, 2년, 3년마다 분유집단, 모유집단의 인지발달지수(MDI)를 측정한 결과를 상자그림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그림상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수치는 중위수를 의미합니다. 또한, 모유집단도 개월수별로 구분하였습니다 3개월 이하, 3-5개월, 6-8개월, 9-11개월, 12개월 이상입니다. 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1,2,3년후 측정한 결과를 보았을 때에 9개월 이상먹였을때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1,2년후 측정결과의 경우 각각 9-11개월의 경우 유의수준 1%에서, 12개월 이상은 유의수준 5%에서 차이가 있었다. -> 9개월 이상 먹였을 때 통계적으로 인지발달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3년후 측정결과의 경우 각각 9개월 이상의 경우 유의수준 1%에서 차이가 있었다.

 

  결과를 해석할 때 일단은 중위수의 수치에 큰 의미를 두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이 주의깊게 보실 것은 1,2,3년의 추적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9개월 이상 모유수유를 한 경우에 인지발달지수(MDI)가 유의미한 차이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정리를 하며

 

  제가 살펴본 논문을 종합하여 정리해보자면, 모유수유를 한 경우에 베일리검사의 인지발달지수(MDI)가 분유를 먹였을 때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모유수유를 한 경우에도 9개월 이상 모유수유를 한 경우에 인지발달지수가 유의미한 차이가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고 싶으신 분은 Effect of Breastfeeding Duration on Cognitive Development in Ifants 논문을 살펴보시면 됩니다.

 

  • 분유를 먹인 경우보다 모유수유를 했을 때 인지발달지수가 높습니다.

  • 9개월 이상 모유수유를 한 경우에 인지발달지수의 차이가 유의미합니다.

반응형

댓글